기후변화로 인한 꿀벌의 감소는 머지않아 과채 생산량도 줄여 사람에게까지 영향을 끼칩니다. 꿀벌의 구조(곤충의 구조)와 한 살이(완전탈바꿈)에 대해 탐구하고, 꽃을 찾는 꿀벌을 만들어봄으로써 꿀벌의 역할(수분매개자)을 이해하는 프로그램입니다. 사라져가는 꿀벌에게 관심을 가지고 환경보호를 위해 노력해야 할 일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.
LED 전기회로 구성하여 꽃 찾는 꿀벌 만들기: 수분매개곤충의 역할 이해 1) 커넥터에 검정탭전선을 끼운다. 2) LED전구의 짧은 발은 검정전선 있는 쪽 구멍에 끼우고, 긴 발은 바깥으로 빼낸다. 3) 밖으로 빼낸 LED전구 발을 위로 꺾어준 후, LED전구와 빨간전선을 연결한다. 4) 리드스위치를 빨간전선과 연결한다. 5) 검정탭전선을 건전지의 (-) 쪽에 놓고, 원형스티커를 붙인다. 6) 건전지를 꿀벌모형 배쪽에 붙이고 빨간전선을 (+) 쪽에 붙인다. 7) LED전구를 꿀벌모형의 머리, 가슴 쪽으로 빼서 고정시킨다. 8) 꽃을 찾아 꿀벌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한다.
환경보호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생각해보기
배경이론 및 원리
벌은 전 세계에 2만 여종이 있는데 꿀벌만이 벌집에 꿀을 모은다. 사람에게 달콤한 꿀을 제공하는 꿀벌의 더욱 중요한 역할은 꽃끼리 수분을 시켜 열매를 맺게 하는데 있다. 벌의 수분능력은 사람이 하는 것 보다 훨씬 효율적이다. 그러나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온난화로 꽃이 제 시기에 피지 않아 꿀벌의 밀원이 사라져 꿀벌이 사라지고 있다.
벌은 곤충으로 머리, 가슴, 배로 나뉘며 더듬이와 3쌍의 다리, 날개가 있다. 완전탈바꿈 곤충으로 알-애벌레-번데기-성충의 한살이를 산다.
빛을 내게 하는 전기회로는 전구, 전선, 건전지로 구성되어 있다. 전선 중간에 스위치를 사용하면 열린회로를 만들 수 있다. 리드스위치는 안에 2개의 금속 막대가 있어 자석이 가까이 오면 두 금속이 붙게 되어 전기가 통하게 되는 원리다. 이것을 이용하여 자석이 다가오면 불이 들어오는 전기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.
기대효과
꿀벌의 수분매개자 역할을 이해하여 꿀벌의 중요성을 깨닫고, 꿀벌 감소를 막기 위한 환경보호 실천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.
A06
꽃을 찾아라, 꿀벌
STEAM
운영기관
안산국제비지니스고등학교
프로그램 개요
참여대상
□ 유아 ■ 초등 ■ 중등 □ 고등 □ 성인
체험 난이도
□ 상 ■ 중 □ 하
장애인 활동 여부
□ 가능 ■ 불가능
특이사항
1인 키트구성
꿀벌과 거치대퍼즐, 전선2개, 커넥터, LED, 리드스위치, 원형스티커, 원형자석, 동전건전지, 양면테이프
체험순서
1) 커넥터에 검정탭전선을 끼운다.
2) LED전구의 짧은 발은 검정전선 있는 쪽 구멍에 끼우고, 긴 발은 바깥으로 빼낸다.
3) 밖으로 빼낸 LED전구 발을 위로 꺾어준 후, LED전구와 빨간전선을 연결한다.
4) 리드스위치를 빨간전선과 연결한다.
5) 검정탭전선을 건전지의 (-) 쪽에 놓고, 원형스티커를 붙인다.
6) 건전지를 꿀벌모형 배쪽에 붙이고 빨간전선을 (+) 쪽에 붙인다.
7) LED전구를 꿀벌모형의 머리, 가슴 쪽으로 빼서 고정시킨다.
8) 꽃을 찾아 꿀벌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한다.
배경이론 및 원리
기대효과
꿀벌의 수분매개자 역할을 이해하여 꿀벌의 중요성을 깨닫고, 꿀벌 감소를 막기 위한 환경보호 실천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.
구매가능한 곳
https://smartstore.naver.com/mareco21/products/5814105539
쉽게 구할 수 있는 대체재료